하수구 고압세척으로 배관청소 전/후 내시경 촬영 영상
저희 블로그를 계속 읽어오신 분들이라면 하수구 역류가 일어날 때 우리집 배관의 문제인지, 아니면 건물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배관의 문제인지 정도는 쉽게 파악하실 수 있을거라 믿습니다.
다음의 성동구에서 있었던 하수구 역류는 세대 내부의 문제였을까요, 아니면 공동배관의 문제였을까요?
힌트 1. 역류가 발생한 세대는 사무실이다
힌트 2. 사무실 위층은 가정집이다
힌트 3. 위층의 오수가 사무실 화장실에서 역류한다
정답은 함께 보시지요.
성동구 옥수동 하수구 역류 현장 전경
저희가 문제의 성동구 하수구 역류 현장에 도착해보니 건물 진입로가 물로 잔뜩 얼어있었습니다 (참, 이 사건(?)은 작년 겨울에 있었던 일입니다). 알고보니 2층 사무실의 화장실에서 물이 계속 역류하니까 직원분이 물을 밖으로 퍼내서 버렸기 때문에 진입로가 꽁꽁 얼어있었던 것입니다. (하수구 역류로 이렇게까지 고생하는 직원분을 보니 꼭 해결하고 가겠다는 결심이 섰습니다)
건물주께서는 근처의 설비 기사님을 부르셨지만 해결을 못하셨다고 하네요. 위의 힌트1~3을 근거로는 공동배관에 생긴 문제임이 확실해 보였습니다. 과연 그러한지 배관 내시경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예상대로 공동으로 사용하는 하수 배관의 내부는 이미 기름슬러지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이렇게 배관을 막고 있는 기름 슬러지는 원활한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고 하수구 막힘이나 역류를 유발합니다.
일부 설비 업체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배관을 교체하자며 공사 비용으로 많게는 기백만원을 요구하신다고 합니다. 하지만 하수 배관으로 많이 사용되는 PVC배관은 최소 10년, 길게는 3,40년 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합니다. 따라서 아직 멀쩡한 배관을 교체할 필요 없이 문제가 되는 기름 슬러지를 배관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합리적인 방법입니다.
공동 하수배관처럼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배관을 청소해주는 방법으로 저희는 하수구 고압세척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고압세척을 통해 슬러지로 꽉 막힌 이 배관이 어떻게 변했는지 보시지요.
위의 영상에서 보실 수 있듯이 하수배관 전체가 깨끗하게 청소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배관을 교체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처음 시공할 당시의 컨디션으로 회복된 하수관은 이제 오랫동안 막힘이나 역류 없이 건물의 모든 입주민들이 마음 놓고 싱크대나 화장실을 사용하실 수 있도록 해줍니다.
하수배관 교체 공사 없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하수구 청소를 하길 원하신다면 저희에게 문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