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수구의 제왕 입니다.

이제 곧 장마가 시작 된다고 하는데요.

항상 조심히 다니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장마가 시작되면 더욱 위험할수 있는곳이

바로 주차장이죠!

 

오늘 가본 곳은 주차장 집수정이 막혀서

(똥)물이 역류하는 증상이 있어서 방문했습니다.

 

이전에 다른 업체에서도 방문 했지만

해결하지 못하고 돌아갔다고 하는데요.

저희 하수구의 제왕이 꼭 해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주차장에 있는 집수정을 열어봤는데요.

이미 물이 가득 차있었습니다.

 

 

 

내시경으로 구조를 살펴보니 오수+하수도가 연결 되있는 구조 입니다.

 

 

그리고 내시경으로 더 살펴보니 정화조 배관 엘보쪽이

기름과 이물질로 막혀 있었습니다.

 

 

 

그래서 샤프트를 이용해서 이물질을 제거 해주기로 했습니다.

 

 

 

이물질을 제거 해주니 막혀있던 물이 잘 빠져 나오고 있습니다.

하수구에 가득 차있던 물이 정화조로 폭포처럼 나오고 있네요!

 

 

 

이렇게 뚫어준 뒤에 다시 내시경으로 확인해봤습니다.

배관에 엄청나게 커다란 기름이 있었습니다!

 

이전 업체가 와서도 제거하지 못하고 너무 단단하다고 

그냥 갔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희 하수구의 제왕에서는 완벽하게 제거 해드리겠습니다.

바로 샤프트를 이용해서 제거해주겠습니다.

 

 

저희 장비는 천장부분까지 회전으로 다 닿기 때문에 

모든 위치에 있는 기름을 제거해줄수 있습니다.

 

다른업체와 차별점이 느껴지시죠?

 

 

 

이렇게 해서 마지막 기름까지 제거 해드렸습니다. 

정말 속 시원하네요!

 



마무리로 배관 구조까지 설명 해드리고

오늘현장도 시원하게 해결해드렸습니다!

 

이처럼 하수구 배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있고,

전문적인장비, 기술까지 모두 갖춘 하수구의 제왕에

언제든 연락주세요!

 

더 자세한 내용은 하수구의 제왕 유튜브를 방문 해주세요!

https://youtu.be/qINfoSXWXzY?si=IX69egLcZlpm4xw5

 

하수구 석회는 화장실, 세탁실 또는 베란다 하수구 막힘이나 배수구 막힘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배수구나 하수구에 석회가 생기는 원인이 다양합니다.

원래는 석회가 물이랑 함께 흘러가는데, 어떤 이유로인가 하수구에 석회가 남아있으면 그게 매개체가 되어서 하수구에 석회가 계속 쌓이게 된다고 합니다.

하수구 석회 제거 방법

석회는 산(acid)계열과 반응을 합니다.

그래서 이걸 이용해서 하수구 석회를 제거하는 실험을 하였습니다.

정확한 실험환경은 아니기 때문에 100%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는 없지만, 최선을 다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하수구 석회 제거 실험에 사용된 산acid 의 종류는

-양조식초

-빙초산

-구연산

-묽은염산

-석회제거제 입니다. 

식초, 빙초산은 시중에서 구매하였고, 구연산과 석회제거제는 인터넷에서 구매한 것입니다.

 

빙초산을 석회에 넣어준다

물병을 이용해 배수구처럼 만들어 놓은 후 백시멘트로 석회덩어리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각각 일정량의 식초, 빙초산, 구연산, 염산, 석회제거제를 넣어주었습니다.

다섯 종류의 산을 석회에 넣고 기다린다

이 상태로 총 30시간을 두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어떤 산acid이 석회를 가장 잘 제거했을지 맞춰 보시길 바랍니다.

석회제거제는 많이 녹았다

실험이 시작된 후 시간별로 체크를 해주었는데 묽은 염산과 석회제거제가 가장 효과를 보였습니다.

실험의 풀 영상은 아래 동영상에 있습니다.

 

https://youtu.be/eN8ROpC_nKo

 

하수구 석회제거 어떤게 가장 효과적인 약품일까?

하수구 석회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5가지 약품을 직접 실험해보고, 그중 가장 효과적인것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영상입니다. 아울러 석회를 제거하는 데 있어서 주의사항을 담고 있습니다. 2개의 파트중 약품에 관한 이야기이며 물리적인 방법의 제거는 다른 영상에서 소개합니다.

www.youtube.com

최종 실험 결과와 산acid을 이용해 하수구 석회를 제거하는 방법 주의할 점을 위의 동영상을 통해서 확인해 보십시오.



전기 주전자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움푹 패인곳이나 주전자의 바닥이 하얗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물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이 주전자에 남게 되고 시간이 지나 하얗게 굳어버리는 현상인데요, 한 가전제품 회사에서 이를 제거하는 방법을 웹사이트에 게시해 놓을 정도로 주부들에게는 골치인 모양입니다. (온도가 높을 수록 석회질이 더 쉽게 생성된다고 합니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hard water, 즉 경수가 일반적이므로 많은 가정에서 이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릇이나 silverware에 얼룩이 생기거나 또는 식기 세척기에 하얀 석회성분이 남는 모양입니다.


한국의 수도물은 soft water, 즉 연수이기때문에 대부분은 석회성분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만, 지역적인 특성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예를들어 강원도에 거주할 당시 물에 석회 성분이 많으니 정수기를 꼭 사용하라는 주위 이웃분들의 당부를 여러 차례 듣기도 했습니다. 지하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미네랄이 함유된 석회성분이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아파트의 시멘트에 균열이 생긴 곳에 석회성분이 생성되는 것 역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석회성분이 많은 물은 마시는 물 뿐만 아니라 생활 하수가 빠져나가는 곳에도 문제를 만들 수밖에 없습니다. 화장실을 비롯해 집의 메인 배관 내부에 석회성분이 생성되어 물의 원활한 흐름을 막고 결국 하수구 막힘이나 역류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한 많은 설비업체들의 고군분투기도 인터넷에서 쉽게 검색하실 수 있지요.


석회가 다량 함유된 물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것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집의 수전설비에 하얀 얼룩이 생기고 하수배관에 석회성분이 딱딱하게 생성되어 가는 정도가 심하다면 수질검사를 통해 물의 성분을 조사하여 알맞게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