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손님을 맞이하는 대형 음식점에서는 주방이나 싱크대 하수구가 막히는 것이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니지요. 자칫하면 매출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무엇보다도 찾아주는 손님들에게 불편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광진구의 한 대형 음식점 사장님도 바로 그러한 이유로 저희 일통배관케어를 찾아주셨습니다. 주방 바닥에서 물이 내려가지 않는 하수구 막힘 문제를 해결하고자 설비업자를 불렀는데 굴착을 해야 한다고 했답니다. 하지만 굴착은 부담스런 비용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음식점에 기대하고 걸음 해주신 손님들에게 금일 임시휴업이라는 실망을 안겨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 때문에 해당 음식점의 사장님은 굴착을 하지 않고 비파괴로 하수구 막힘 문제를 해결하는 업체를 인터넷으로 검색하시던 중 저희 일통배관케어를 알게 되셨고 주방 하수구 막힘 해결을 의뢰해주셨습니다.

 

아침 9시. 현장에 도착하여 먼저 방제실을 통해서 문제를 파악하였습니다. 해당 음식점의 영업장은 지하 2층이었고 그 아래 지하 3층 주차장의 횡주관이 막혀있는 상태였습니다. 배관은 이미 꽉 막힌 상태였고 배관에서 차오른 각종 슬러지들이 배관 상측 소제구의 깨진 틈으로 새어나오고 있는 지경이었습니다.


의뢰해주신 고객님은 8년 동안 한 번도 고압세척 등을 이용한 배관 세척을 하지 않으셨다고 합니다. 사실 많은 음식물을 처리하는 음식점일수록 배관 세척에 신경을 써야 하는데 왜냐하면 음식물에서 나오는 기름때와 야채에서 나오는 모래들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배관에 뒤엉겨 달라붙고 딱딱하게 굳어서 결국 배관을 막는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제 더 자세하게 배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배관내시경을 투입하기로 합니다.

 



  

 

 

배관을 내시경으로 확인해 보니 역시 슬러지와 오물로 꽉 차 있어 배관 진입 후 겨우 6M 지점에서 배관에 차 있는 슬러지로 인해 내시경이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였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하수구 고압세척 작업을 시작할 때입니다. 고압세척 작업 시 오물이 많이 튈 수 있기 때문에 배관 주변에 오염 방지용 비닐을 설치한 후, 국내 유일의 최고성능을 인정받은 일통배관케어의 실외용 고압세척 장비를 사용하여 배관 바깥쪽에서부터 배관 내부로 전진하여 슬러지의 파쇄 작업을 시행합니다.




 

그런 후에는 노즐을 교체하여 다시한번 배관의 안쪽에서부터 집수정 방향으로 빼 내며 잔여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배관을 두 번 세척합니다. 더블케어라고나 할까요? 이 두가지 고압세척 작업으로 엄청난 양의 기름 슬러지 덩어리들과 음식점에서 야채를 씻을 때 발생된 모래가 토출 되었습니다.

 


이제 드디어 맑은 물이 나오네요! 배관이 깨끗하게 세척되었다는 것입니다.


내시경으로 확인해 볼까요?

 

 

고압세척 전에는 6M까지 밖에 진입할 수 없었던 내시경이 이제는 배관 끝까지 문제없이 보여줍니다. 의뢰해주신 고객님의 영업장이 있는 건물은 철로 된 배관을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때문에 배관을 막고 있던 슬러지는 더 이상 없지만 이전에 배관을 메우고 있던 슬러지로 인해 배관에 녹이 슬어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배관세척을 정기적으로 해야 하는 또다른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배관에 쌓여 있는 각종 슬러지는 하수구 역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배관의 부식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무리도 확실한 일통배관케어. 집수정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의뢰하신 고객님에게 배관 내시경 동영상을 전달해 드리는 것으로 작업을 마무리하였습니다.

 

사실 이번처럼 천장에 설치된 배관의 고압세척 작업 때는 배관에서 떨어지는 더러운 하수를 그대로 몸에 맞아가며 일하기도 합니다. (이 얘길 하니까 제 아내는 영화 쇼생크 탈출'에서 주인공 앤디 듀프레인이 감옥을 탈출하기 위해 축구장의 5배가 넘는 더러운 하수로를 기어가서 원하던 자유를 얻는 장면이 생각났다고 하더군요...)

 

(사진출처는 네이버 이미지 입니다^^)

하지만 저희를 믿고 맡겨주신 고객님이 일통배관케어에 맡기길 잘했다라고 말씀하실 때 저희의 일에 보람을 느끼게 됩니다. 하수구 막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희를 믿고 맡겨주신 광진구 고객님, 다시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사업 번창하시고 행복한 가을 맞이하세요 ^^

방금 전 동영상 하나 올리는데 한시간은 헤맨 것 같습니다.

서울에서 쓰던 sk 인터넷 서비스를 동해에서도 잘 썼고 여기 광주에 이사오면서도 당연히 잘 될거라는 일말의 의심도 하지 않았는데..아뿔싸. 우리집은 서비스 불가 지역이라네요 ㅠ.ㅠ

 

그나마 KT 하나 있는데 인터넷 검색 하니 우리집이 있는 동네는 속도가 최악이라고.

차라리 잘됐다 인터넷 없이 자유롭게 살아보자 라는 생각도 잠깐, 재택근무 하려면 인터넷이 무조건 되야한다는 것을 깨닫고 방법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내린 결론이 스마트폰 요금제를 데이터 네트워크 무한제(?)로 바꾸고 핫스팟을 실행시켜서 컴퓨터로 인터넷을 즐겼더랬죠.

그런데 그동안 문제없이 잘 쓰다가 오늘 오전에 제대로 폭우가 내릴 때 속도가 뚝 뚝 떨어지더니 급기야 접속이 끊기기 까지 하더라구요.

 

예전부터 의문스럽게 생각했는데 과연 비가 (또는 날씨가) 무선인터넷의 속도에 영향을 미칠까 하는 거였습니다.

대학때 Data Communication 수업을 잠깐 들었었는데 그 때 기억으로는 분명히 영향이 있다! 였는데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좀 더 인터넷을 뒤져보기로 했지요. (안나오는 속도로 이거 검색하느라 또 분통이...;;;)

 

  

 

 

정답은 Yes and No

 

Yes - 다양한 날씨는 RF (Radio Frequency)즉 무선주파수에 영향을 미친답니다.

특히 비 같은 경우는 빗물의 양과 빗방울의 크기에 따라서 주파수의 감쇠(힘이나 세력 따위가 줄어서 약하여짐 - 네이버 국어사전) 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는데요 비가 많이 오고 빗방울이 클수록 더 많은 주파수의 감쇠를 가져온다고 하네요. 게다가 주파수가 높을 수록 비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한 주파수의 감쇠율이 높다고 하니 높은주파수(극초단파)를 사용하는 통신사들의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같은 경우, 오늘처럼 강한 비가 내리는 날은 아무래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나 봅니다.

 

그렇다면 왜 No이기도 할까요? 제가 참조한 블로그의 필자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매끄럽게 번역하지 못해서 죄송 ^^;)

"모든 무선 시그널은 안테나에서 안테나로 이동할 때 path loss (전력 손실),을 경험한다. 제대로 설계 된 [무선인터넷] 시스템은 올바른 안테나와 주파수, 그리고 전송력(?)(Tx)을 사용하여 path loss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수신 신호 레벨(RSL)을 얻는다."

 

즉.. 애초에 손실을 염두에 두고 무선 인터넷 시스템을 제대로 설계하면 신호를 받는 사람은 여전히 무선인터넷을 그닥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인 듯 합니다. 아무래도 이 블로그 주인이 wireless 시스템 설계하고 설치하는 사람이라 이렇게 얘기한 듯 하지만 뭐 틀린 말은 아니더라구요. 물론 사람이 하는 일이라서 언제나 100% 일 순 없지만 SK Telecom의 뛰어난 전문가들이 잘 설계해서 기지국 만들고 안테나 설치했으리라 믿고싶습니다.

 

 

 

[참조]

Does-Weather-Effect-Wireless-The-5-Misconceptions-Part-1

http://www.aowireless.com/blog/bid/34066/Does-Weather-Effect-Wireless-The-5-Misconceptions-Part-1

 

[물리산책] 황금 주파수를 차지하라! 이동통신용 주파수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0&contents_id=6397

 

무선주파수

http://ko.wikipedia.org/wiki/%EB%AC%B4%EC%84%A0%EC%A3%BC%ED%8C%8C%EC%88%98

 

서울과 경기 지역 등 중부지방에 호우특보가 내려졌네요.

예전에 창문이 없는 사무실에서 일했을 때 꽤 아쉬웠던 것이 비나 눈이 올 때 볼 수 없는 거였어요.

비오는 풍경을 유난히 좋아하는지라 비오는 날 창문 없이 삭막한 사무실에 앉아 있노라면 숨통 막히는 답답함이 올라오곤 했지요.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지금, 초등학생 저학년 키 만큼 되는 창문 바로 앞에 일부러 책상을 놓고서는 틈만 나면 창문 밖 붉은 단풍 나무를 쳐다보며 일 반 공상 반.


퇴근 길 우산쓰고 걸어가야 하는 분들에겐 죄송하지만 저로서는 오늘 뉴스에서 본 호우특보가 반가운 손님이네요^^ 윗층이 없는 집이라서 비가 오면 툭툭툭 하고 지붕에서 만들어내는 소리가 참 아름답거든요.

지금 이 느낌을 온전히 전하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하지만 30초 정도 되는 동영상으로 조금이라도 호우특보를 실감하셨으면 해요.


싱크대 역류나 싱크대 막힘으로 고생하시는 대한민국 모든 주부들과 소통하길 바라며 이 글을 바칩니다.

 

 

홍은동에 사시는 고객님께서 싱크대 하수구 역류로 문의를 주셨습니다.

고객님께서는 싱크대 역류 해결을 위해 사전에 트래펑을 몇 통 부어보았는데도 효과가 없다고 하셨습니다.

 

고객님 댁을 방문하여 보니 단독 주택이었습니다.

전화 주신 고객님께서 외출을 하셔서 집에 계시는 노부부께 양해를 구하고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주목~~!! 일반적으로 싱크대 하수구가 막히는 이유

1- 설거지를 하다보면 쌓이는 기름때

2- 야채를 다듬을 때 쓸려 들어가는 섬유질

3- 수세미 파편등이 엉기기 때문에 하수구 싱크대가 막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싱크대가 막혔을 때는 이물질을 가장 잘 제거해주는 석션이 효과적입니다. 저희는 우선 석션기로 이물질을 흡입해보았습니다. 그러자 엄청난 양의 기름때가 빨려나왔습니다. 임산부 및 노약자는 혐오 주의~

 

 

 

 

200리터!!! 가량의 이물질을 석션으로 제거하였습니다.

보통의 가정집에서는 50리터면 충분히 문제가 해결되는데, 홍은동 고객님 댁에서는 끝도 없이 이물질이 나와서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싱크대 하수구의 기름 슬러지를 제거하였으므로 배관의 남은 물을 뽑아내고 내시경을 집어넣어보았습니다.

 

 

 

 

동영상을 보시면 싱크대 입구로부터 80센티(0.8m) 가량 부분부터 배관에 경화되어 가고 있는 기름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집주인께서는 배관의 길이가 최소 15m에서 그 이상 될거라고 말씀하셨는데, 그 배관 전체에 걸쳐서 기름 슬러지가 쌓여 있을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었습니다. 기름 슬러지가 싱크대 막힘의 원인 이었습니다.

 

저희 작업을 보시던 할아버지께서는 기존에 다른 분들이 오셔서 이것저것 넣어보더니 그냥 돌아가셨다고 하셨습니다. 그 말씀을 들어보니 그럴만도 했습니다.

기존 설비 업자분들께서 실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지금의 배관 상황은 특수한 장비가 없이는 도저히 해결 할 수 없는 부면이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한국 설비 업자 분들의 기술력이 세계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경험이 할 수 있는 영역과 도구가 할 수 있는 영역이 다를 뿐입니다.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해결책을 찾는 것은 더 이상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자세한 작업 과정은 저희의 경쟁력이라 밝힐 수 없지만, 홍은동 고객님의 배관이 매우 깨끗하게 복원되었다는 것은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앞서 동영상에서는 80센티(0.8m) 부분부터 경화된 슬러지가 쌓여 있던 것을 보실 수 있었습니다. 다음 동영상에서는 깨끗하게 복원된 홍은동 고객님의 싱크대 배관의 상태와 물의 흐름을 보시기 바랍니다.

 

 

 

작업 중 고객님께서 잠깐 들려서 요쿠르트를 주셨는데, 정말 맛있었어요. 이 자리를 빌어서 감사드립니다 ^^

작업을 말끔히 끝내고 다른 의뢰를 해결하러 가는 길...

홍은동 고객님께서 싱크대 문제가 해결되어 기쁘다고 문자를 주셔서 저희가 하는 일이 참 보람이 있다고 느꼈습니다. 많은 분들 중에서 저희를 선택해 주시고 또 믿어 주셨기 때문입니다.

 

저희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사람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서 작업해드립니다.

많은 분들이 블로그를 보시고 연락을 주십니다.

고객님들께서 보여주시는 믿음에 보답하고자 항상 정직하게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홍은동 고객님, 저희에게 의뢰해 주셔서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앞으로 오래도록 싱크대 막힘이나 싱크대 역류 없이 깨끗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어제 신랑이 일을 끝내고 집에와서 해 준 얘기가 참 재미지더라구요.

어느 모텔의 욕조가 막혀서 가봤는데 아무래도 뭔가 이상하더랍니다.

분명 욕조에는 물이 빠지지 않아서 가득 차 있는데 욕조가 연결되어 있을 배관(아래층 천장을 통해서 확인함)에는 아무것도 없더랍니다.

신랑이 이쪽 일 한지도 벌써 꽤 되었는데 이런 경우는 처음 겪었는지 내시경으로 배관을  촬영한 동영상까지 저한테 보여주며 신이나서(?) 얘기해주더라구요.

동영상을 보니 욕조 물 내려가는 구멍으로 내시경을 넣었는데 배관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왠 시멘트와 타일 바닥이 나옵니다.. 잉?? 이상하다??

 

보통 욕조는 이런 구조로 생겼지요. (그림을 양해바랍니다;;;;)

 

<좋은 예>

 

욕조에 담긴 물이 빨간 배관을 통해서 밖으로 배출이 되는거죠. 우리눈에는 안보이지만. 그러니까 욕조 물 배출 구멍으로 내시경을 넣으면 당연히 바닥에 연결되어 있는 배관이 나와야 합니다.

그런데 이번 현장에서는 배관 내시경 촬영을 해보니 저 빨간 주름진 관이 바닥에 뚫려있는 배관 구멍으로 연결이 안되어 있더라는 겁니다.

 

<나쁜 예>

 

그러니 욕조에 있던 물은 고대로 욕조와 욕조 받침대(?) 사이로 빠져 버리고 거기에도 꽉 차면 욕조의 물이 더이상 빠지지 않는거지요.

그래도 배관이 있으니 물이 빠지지 않겠냐구요? 물론 그래야겠지요!

그런데... 이번 케이스는 설상가상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저 배관도 막혀있더랍니다.

 

이 일을 의뢰한 곳이 모텔이었는데 한달 전 리모델링을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눈으로 얼른 드러나지 않는 이런 문제가 숨어있었고 리모델링 후 한 달 정도 지나서..(이미 많은 설비업자가 다녀간 모양이었습니다;;) 문제와 원인이 확실히 드러나게되었습니다. 

 

이번 일을 통해서 느낀 것이 인테리어나 리모델링을 의뢰할 때는 A/S의 기간이나 범위까지도 꼼꼼히 문서화 시켜야 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제 친구 중 하나도 신혼집으로 아파트를 리모델링 했는데 들어가서 살면서 보니 화장실 수납장이 균형이 안맞고 들떠있더랍니다.

교체를 요구했는데 이 업체측에서는 이 일이 워낙 사소한 일로 느껴졌는지 직접 와서 수납장 새거 가져가라고 했다더라구요. 꼼꼼한 A/S라고 보기엔 좀 떨떠름 하지요. 게다가 신혼집인데!!!!

 

아무튼 이 모텔 사장님은 다행히 문제와 원인이 한 달 안에 파악이 되었으니 리모델링 업체로부터 무상A/S를 받을 수 있었나 봅니다. 또 이 덕분에 모텔 사장님은 아래층 천장에 물 번짐 현상의 원인도 잡아내게 되었구요. 물론 이번 일에는 신랑이 찍은 배관 내시경 동영상이 증거물로 한 몫 톡톡히 했지요~! (뿌듯!!!!) 

 

 

 

 

 

+ Recent posts